2019-12-30 TIL
30 Dec 2019 | TILJava 언어 공부 시작!
C언어에 어느정도 익숙해진 나는 좀 더 생산적인 언어를 배우고 싶었다. 후보로는 Java와 Python 이 있었다. 나는 고민 끝에 업무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는 Java를 선택했다. 그래서 나는 생활코딩에서 Java1 과목을 수강하기 시작했다.
Today I Learend
- JDK를 설치하고 Eclipese를 다운받았다. 개발환경을 설정하고 실행해보았다.
- Java의 동작 순서에 대해 알아보았다.
- Java Language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한다. -> java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생성된다.
- java 확장자의 파일을 컴파일 한다.(javac.exe가 컴파일을 담당) -> Class 확장자의 파일이 생성된다.(Java byte code로 구성되어있다)
- 생성된 Class를 java.exe로 실행시켜 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JVM(Java Virtual Machine)으로 실행한다.
C/C++ 응용프로그램은 기계어가 CPU마다 다르고 운영체제마다 api가 달라서 생산된 플랫폼과 다른 플랫폼에서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졌다.
Java에서는 OS나 H/W에 종속받지 않은 byte code를 이용하고 이를 JVM으로 실행시키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에서도 바로 실행되는 WORA(Write Once Run Anywhere)의 특징을 가진다. - Package > class > variable,method 의 종속관계를 배웠고 Math.PI , Math.floor(1.6) 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는 method와 PrintWriter p1 = new PrintWriter(“result1.txt”) 와 같이 Instance의 형식으로 사용되는 method가 있다는 것을 배웠다.
- 상속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게 되었다.
느낀점
- C언어 개발환경을 만들 때는 고작 visual studio만 깔면 됬는데 Java에서는 JDK도 깔고 path도 bin 폴더로 지정해 줘야 하는 등 꽤 복잡한 것 같다. (문법도 꽤나 복잡한듯)
- 2학기 자료구조 과제 중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여러 알고리즘을 봤었는데 Java로 구현된 코드를 보는데는 두려움이 있었다. 하지만 차근차근 배워보니 두려움이 점점 사라지는 것 같다. 얼른 Java를 더 배워 프로그램을 제작해 보고 싶다. C에서는 검은 화면만 봤었는데 Java에서는 여러 GUI를 제공한다니 기대가 된다.
Comments